맥킨지(Mckinsey)의 문제 해결 프로세스 7단계

개발팀 내 맥킨지 7단계 문제 해결 프로세스 적용법

개발자 입장에서 실제 개발 업무(버그, 성능, 신규 기능 등)에 맥킨지 문제 해결 7단계를 적용하는 방법을 구체적 예시와 실천사항 중심으로 정리합니다.


1. 문제 정의

  • 예시: "앱 로그인 시 3초 이상 지연 발생, 사용자 이탈률 증가"

  • 실천:

    • 현상과 영향(지연, 이탈률 등)을 수치로 명확히 정의

    • 팀원들과 문제 인식 공유 (예: 슬랙, 위키)

2. 세부 이슈 구조화

  • 예시:

    • 서버 응답 지연

    • 네트워크 불안정

    • 클라이언트 렌더링 지연

  • 실천:

    • 이슈 트리(원인별 분류) 작성

    • 각 원인별로 담당자/영향 범위 명확화

3. 이슈 우선순위 설정

  • 예시:

    • 서버 응답 지연이 전체 지연의 70% 차지 → 1순위

  • 실천:

    • 데이터 기반(로그, APM)으로 영향도 산정

    • 우선순위별로 개선 목표 설정

4. 이슈 분석 계획 수립

  • 예시:

    • 서버 로그 분석, API 응답 시간 측정, DB 쿼리 프로파일링

  • 실천:

    • 분석 항목, 담당자, 일정 명확히 배정

    • JIRA 등 협업툴에 Task 등록

5. 가설 기반 이슈 분석

  • 예시:

    • "DB 인덱스 미적용으로 쿼리 지연 발생" 가설 세우고 쿼리 실행계획 확인

  • 실천:

    • 각 원인별 가설 수립 → 데이터로 검증

    • 실패 시 가설 수정 및 반복

6. 검증 및 시사점 도출

  • 예시:

    • 인덱스 추가 후 쿼리 속도 80% 개선 확인

  • 실천:

    • 개선 전후 수치 비교, 효과 정량화

    • 팀 내 공유 및 코드리뷰

7. 결론 전달 및 실행

  • 예시:

    • 인덱스 추가, 코드 배포, 모니터링 강화

  • 실천:

    • 개선안 배포 및 모니터링

    • 재발 방지책(코드리뷰 체크리스트, 문서화 등) 마련


실전 적용 Tips

  • 문제 정의와 구조화에 시간을 충분히 투자하면, 이후 단계가 훨씬 효율적

  • 가설-검증-피드백 루프를 빠르게 반복하며, 데이터 기반으로 의사결정

  • **협업툴(JIRA, Notion 등)**에 단계별 산출물 기록 → 팀 내 지식 자산화

  • 성과 측정(예: 응답속도, 장애건수, 사용자 이탈률 등)으로 개선 효과 명확히


이 프로세스를 반복적으로 적용하면, 개발팀 내 문제 해결 속도와 품질이 크게 향상됩니다. 실무에서는 각 단계별 산출물을 문서화하고, 팀원들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

Last updated